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ql
- Spring
- 소켓
- javascript
- 인공지능
- CD
- IOS
- MySQL
- jenkins
- JPA
- 아이패드다이어리
- DBMS
- libasm
- Xcode
- 다이어리
- 스프링부트
- springboot
- 티스토리챌린지
- 리눅스
- 42seoul
- 데이터베이스
- swift
- CI
- 프로그래밍언어론
- 오라클
- 오블완
- 네트워크
- 스프링부트 웹 소켓
- 스프링
- AI
- Today
- Total
목록linux (5)
Hi yoahn 개발블로그
$ vi [파일명] vi 편집기 - 명령어 모드 vi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는 모드
1. 파일 종류- 일반 파일 : 디스크에 저장- directory: 디렉토리에 포함된 파일들의 목록을 저장하는 파일, 디스크에 저장됨- special file 각종 I/O 장치들을 나타내는 파일 (I/O 장치마다 스페셜 파일 제공 I/O장치를 일반 파일과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 $ ls -l-rw-r--r-- 1 user1 group 1234 3월 4일 15:24 readme.txt파일 종류- 일반 파일d 디렉토리b, c 스페셜 파일l 심볼릭 링크 파일 접근 권한 2. directory 구조트리 모양의 계층 구조/ (루트 디렉토리): 최상위 디렉토리bin : binary, 실행파일,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temp: 임시파일. vim 편집하는 동안 만들어지는 임시파일을 저장home: 개별 사용자들..
1. unix의 특성 - 다중 프로세스 여러개의 프로세스를 실행시킬 수 있다. - 다중 프로세서 지원 두개 이상의 cpu를 가진 시스템 지원 - 높은 이식성과 확장성 이식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 C언어로 작성되어 하드웨어가 달라져도 거의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어셈블리어로 개발되면 하드웨어에 따라 porting해야 함 확장성: 각 기능이 모듈로 나뉘어 있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필요한 모듈만 추가하면 되므로 편리. - 다중 사용자 환경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작업하는 것을 허용 터미널/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하나의 시스템에 접속 - 소유권과 접근 권한 설정이 중요 * 소유권 각 파일, 디렉토리가 어느 사용자 소유인지 나타냄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는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 중 한 사용자의 소유가..
1. 경로명 한글에서 영어로 변경 $ export LANG=C $ xdg-user-dirs-gtk-update > 다시 묻지 않기 체크, Update Names 클릭 2. vim 설치 및 우분투 패키지 업데이트&업그레이드 $ sudo apt-get install vim $ sudo apt-get update -y [자주 자주해서 업데이트 하기] $ sudo apt-get upgrade -y ( $ sudo apt-get dist-upgrade (가끔 전체 설치 패키지에 대한 업그레이드 수행)) 3. gcc 등의 개발 환경을 만들 경우 $ sudo apt-get install g++-4.7 c++4.7 $ sudo apt-get install build-essential $ sudo apt install ..
외장하드에 우분투 설치하기 1. 부팅용 USB 준비 - 다른 파일이 있으면 안됨 - 우분투 공식 사이트에서 iso 파일을 내려받고 튜토리얼에 iso 파일을 usb에 설치해서 부팅디스크로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usb에 설치 2. UEFI 바이오스 -> BIOS 화면에서 advanced 탭 > UEFI Boot : disabled Security 탭 > Secure Boot Configuration > Secure Boot Option : Disabled boot에서 우분투 부팅USB를 최상단으로 올려준다 3. Ctrl+Alt+T 를 눌러서 터미널을 열고 ' sudo gparted ' 를 입력하면 파티션을 설정하도록 나온다. - 먼저 우측 상단에 sda, sdb를 drop down으로 고를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