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OS
- Spring
- 스프링
- 오라클
- 리눅스
- jenkins
- 오블완
- 스프링부트
- 아이패드다이어리
- 소켓
- CI
- DBMS
- MySQL
- sql
- javascript
- AI
- springboot
- 스프링부트 웹 소켓
- 티스토리챌린지
- 데이터베이스
- CD
- 42seoul
- 인공지능
- swift
- 프로그래밍언어론
- libasm
- Xcode
- JPA
- 다이어리
- 네트워크
- Today
- Total
Hi yoahn 개발블로그
노트북 추천 본문
새학기가 시작되면서 노트북을 알아보는 사람들이 많을 시기이기도 하고 특히 컴퓨터공학과나 정보시스템공학, IT관련 학과에 들어가는 학생들의 노트북 구매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1. 기존 노트북이 있는 경우
-> 들고다닐만 하고 용량이 50기가정도 남아있고, 잘 돌아간다면 일단은 그냥 쓰다가 나중에 좀더 마음에 드는걸로 사는것을 추천합니다
2. 노트북 사양
# CPU
- i3 < i5 < i7 ....
사실 요즘 나오는 노트북들은 거의 다 i3 이상이라 이런 cpu에서는 안돌아간다 까지는 잘 없을텐데, 그래도 나는 i5 7세대 이상으로 추천하고 싶다.
(윈도우 노트북 요즘 Windows Defender 인가 Antimalware 돌아간다고 팬 엄청 시끄러워서..)
# RAM
램 용량이 늘어날 수록 한번에 더 많은 작업이 가능해진다. HDD, SSD와는 다른 저장장치로 휘발성이며, cpu가 작업할 프로세스들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이다.
- 최소 8GB
- 추천: 16GB
1학년 때는 8기가로 충분했는데, 어느 순간 램 사용량이 치솟는 것을 보고 노트북 램을 직접 늘린 이후로 무조건 16기가로 시작했으면 하는 생각. 찾아보면 학부때는 8기가로 충분하다고 하던데 어찌된 일인지 이것저것 하다보면 램 엄청 잡아먹는다.
# SSD
자료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이기 때문에 256G 부터 돈이 되는대로 선택하면 된다.
HDD: HDD는 외부 충격에 약하기도 하고, SSD보다 무겁다.
# 무게
학교 다닐 때 노트북에 전공책이나 아이패드만 들어도 무거워서, 노트북은 가벼운걸 사라고 하고싶다
# 맥북|윈도우
맥이 터미널 사용이 더 편하고, 해외 개발자들, 오픈소스들은 대부분 맥 환경에서 작업되어서 맥이 편하다고 하는데, 어떤 것을 고르던지 윈도우는 필요해질 것 같다.
맥: 학교 컴퓨터가 다 윈도우 기반인 경우 맥 os로 따라가기 어려울 수 있다.
윈도우: 나중에 맥북이 더 눈에 들어올 수 있다.
3. 그 외
일반적인 경우 cpu는 i5 8세대, 9세대 그 이상은 크게 의미가 없다. 그정도의 사양을 필요로 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가 잘 없다.
RAM은 8기가로만 해도 충분하다. 4기가는 창 몇개 띄우면 안돌아가는 프로그램이 생길 수 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스킬 - 소통 (1) | 2024.10.01 |
---|---|
[iTerm] iTerm / oh-my-zsh 터미널 설정 (0) | 202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