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ibasm
- 네트워크
- 프로그래밍언어론
- CD
- 오라클
- 스프링부트
- springboot
- javascript
- 42seoul
- DBMS
- Xcode
- 다이어리
- MySQL
- sql
- 티스토리챌린지
- swift
- 데이터베이스
- 인공지능
- 리눅스
- 오블완
- 아이패드다이어리
- 소켓
- AI
- IOS
- 스프링부트 웹 소켓
- CI
- Spring
- 스프링
- JPA
- jenkins
- Today
- Total
Hi yoahn 개발블로그
유저 스토리란? 본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획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기능과 화면들을 사용자 입장에서 정리하다 보면 같이 개발하는 사람들 간에 생각이 다른 부분들을 최대한 줄이는 과정 중에 하나인 것 같다. 유저 스토리를 만들기 전에 정확히 이게 무엇인지 파악하고 가는게 좋을 것 같아서 찾아보고 정리해보려고 한다.
1. 유저 스토리란?
소프트웨어의 사용자나 구매자에게 가치를 줄 수 있는 기능을 서술 한 것
사용자별로 우리가 만들 제품을 사용하게 되었을 때의 예상되는 상황?고객의 생각을 예측해보면서 필요한 것들을 적는 것인거라고 생각된다.
유저 스토리 구성
- 서술 : 스토리는 서술 형태로 기록
- 대화 : 스토리는 대화를 통해 세부사항을 구체화한다.
- 테스트: 스토리는 테스트를 통해 세부사항을 문서화하고 전달하며, 스토리의 완료 여부를 판단
유저 스토리는 이런 식으로 기술한다.
[ 고객/사용자 ] 는 [ 목적 / 목표 ] 를 위해 [ 필요 / 욕구 ] 를 원한다.
2. 유저 스토리를 사용하는 이유
1 ) 고객의 니즈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고객의 니즈가 반영된 형태로 할 일들이 정리되기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사용자의 니즈를 중심으로 개발할 수 있다.
2 ) 자연스러운 디벨롭
유저 스토리를 작성하다보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들이 눈에 들어오게 되면서 더 많은 정리가 가능하다.
3 ) 효율적인 의사소통
보고를 위한 기획안을 만들지 않고, 설정한 유저 스토리를 기반으로 자주 소통하고 단계마다의 결과를 바로 공유하고 피드백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일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스토리는 프로젝트를 함께 하는 팀원들 간의 공용어 역할을 하게 된다.
유저 스토리는 명확한 조건과 틀이 정해져 있는 것 같지는 않고, 대강의 방법들만 있는 것 같다.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 중심으로 먼저 스토리를 기술하고, 스토리마다 세부사항을 문서화 하는 것
사용자 스토리 맵 만들기_아이디어를 올바른 제품으로 만드는 여정
사용자 스토리 맵 만들기_동기 우리 팀 UXUI 디자이너가 항상 말하는 '스토리', '유저 저니 맵'이 도대체 무엇인지 궁금해서 이 책을 읽었다. '올바른 제품'을 효율적인 방식으로 만들고 싶다. [사
skying23.tistory.com
유저스토리 모르는 사람 없게 해 주세요.
[Agile/Scrum] 3단계. 유저 스토리 | 스크럼 두 번째 단계인 로드맵&프로덕트 백로그 단계에서 할 일을 유저 스토리(User Story) 형태로 만드는 을 추천드렸는데요([Scrum] 로드맵&프로덕트 백로그). 다들
brunch.co.kr
'sswu > 소프트웨어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공학]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0) | 2021.03.15 |
---|---|
UML 다이어그램 (0) | 2021.02.22 |
#2 [소프트웨어 공학] 프로세스와 방법론 (0) | 2020.12.08 |
#1 [소프트웨어 공학] 개요 (0) | 2020.11.12 |